내과질환 안내
김포참조은내과 의료진은 풍부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내과 질환을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지정병원
Internal Medicine Clinic
진료내용
의사가 내시경 시행시 위점막이
붉은 색으로 충혈되어 있는 것, 위염
위염이라는 용어는 의사가 내시경 시행시 위점막이 붉은 색으로 충혈되어 있는 것을 보았을 때 쓰기도 하고 방사선과 의사가 위장 조영술을 시행하는 도중 위점막의 불규칙한 변화를 관찰했을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속쓰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에게 의사가 위장관 증상에 대한 원인 질환을 설명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용어인 위염은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이나 약물에 의해서 또는 자가면역 및 과민성 반응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위염의 원인 및 분류
급성 위염
•아스피린 같은 감기약이나 진통제 등의 약물을 복용 후
•심한 음주 후
•큰 수술이나 사고 등을 당했을 때 받게 되는 심한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
•위내시경 검사에서는 다양한 크기로 위점막이 헐어있는 양상이 보이거나 출혈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만성 위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고 있으나 이중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라는 세균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만성 활동성 위염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만성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위염의 특징적인 증상이나 위내시경 소견은 없으며 위점막의 조직학적 검사시 여러 염증 세포들이 위점막에 모여 있는 것이 관찰됩니다. 이외에도 위점막이 얇아지는 만성 위축성 위염이 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아주 흔한 위염입니다.
이 B형 만성 위축성 위염은 음식이나 나이 등의 환경적 요인이 주원인일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만성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위염의 아주 일부분에서 만성 위축성 위염으로 진행됨이 판명되었습니다.
위염의 증상
1)소화불량(dyspepsia)
상복부의 동통 또는 식후 심와부 그득함, 복부팽만감, 조기 포만감, 메슥거림, 속쓰림, 트름, 역류증상 등을 포함하는 거북함 또는 불쾌감으로 정의됩니다.
2) 비궤양성 소화불량
소화불량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위내시경을 시행했을 경우 소화성 궤양도 관찰되지 않고 다른 소화기 질환을 의심케하는 임상 증상도 없을 경우에 사용됩니다.
진단
위염 자체만을 진단하기 위해 위내시경 검사나 위장관 조영술을 시행하는 경우는 별로 없으며, 속쓰림이나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나 출혈 등으로 이러한 검사를 시행했으나 소화성 궤양이나 위암 등의 질환은 발견되지 않고 위점막의 여러 가지 변화들 -즉 붉은 색의 발적이 있거나, 점막이 약간 헐었거나, 작은 출혈점들이 관찰될 때, 위점막이 얇아진 위축소견-등이 관찰되었을 때 위염 진단이 내려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치료
위염의 치료는 원인과 염증의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